a11y

4. 접근성 가이드라인

4.4 무인정보단말기 접근성

무인정보단말기 접근성(accessibility of self-service kiosk) 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류 발급, 정보 제공, 상품 주문 및 결제 등의 사항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무인정보단말기의 접근성은 다양한 사용자들이 단말기를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설계, 환경,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편의 제공, 개인정보 보호, 지원 서비스, 피드백 수집 및 개선, 교육, 법적 준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모든 사용자가 차별 없이 무인정보단말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접근성 요구사항을 철저히 구현함으로써 모든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무인정보 단말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피드백 수집과 개선 작업이 필요합니다.
참조 : 무인정보단말기 접근성 지침 KS X 9211:2022

“터치스크린 등 전자적 방식으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하거나 서류발급, 주문 ·결제등을 처리하는기기를말함”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 무인정보단말기 정의)

무인정보단말기 접근성 지침 KS X 9211:2022에서 제공되는 목차
6 하드웨어 접근성 요구사항
6.1 일반
6.2 시각정보 제공
6.2.1 일반
6.2.2 용이한 인식
6.2.3 폰트 크기
6.2.4 색의 사용
6.2.5 명도 대비
6.3 청각정보 제공
6.3.1 일반
6.3.2 음량 보장
6.3.3 음량 초기화
6.3.4 음량 조절 범위
6.3.5 음량 조절 단계
6.3.6 다시 듣기 기능 제공
6.3.7 읽기 종료
6.4 동등한 대체 콘텐츠 제공
6.4.1 일반
6.4.2 시각정보의 대체 콘텐츠
6.4.3 청각정보의 대체 콘텐츠
6.4.4 레이블 제공
6.5 위협 요소 배제
6.5.1 광과민성 발작 방지
6.6 용이한 조작
6.6.1 일반
6.6.2 독립적인 사용 보장
6.6.3 사용자 컨트롤 위치
6.7 스위치, 버튼 및 키패드
6.7.1 일반
6.7.2 키보드 및 키패드
6.7.3 기능 키의 촉각 레이블
6.7.4 키패드 등의 부착
6.7.5 표면 크기
6.7.6 이웃한 버튼스위치 간의 간격
6.8 사용자 컨트롤 조작
6.8.1 일반
6.8.2 힘의 강도
6.8.3 단순한 조작
6.8.4 한 손 조작
6.9 매체의 용이한 사용
6.9.1 일반
6.9.2 매체 삽입
6.9.3 매체 회수
6.9.4 유실 방지

7 온-스크린 콘텐츠 접근성 요구사항
7.1 일반
7.2 시각정보 제공
7.2.1 일반
7.2.2 폰트 크기
7.2.3 색을 이용한 정보 전달
7.2.4 명도 대비
7.2.5 콘텐츠 구분
7.3 동등한 대체 콘텐츠 제공
7.3.1 일반
7.3.2 대체 콘텐츠 제공
7.3.3 자막 또는 수어 제공
7.3.4 화면 해설 제공
7.4 위협 요소 배제
7.4.1 광과민성 발작 억제
7.5 용이한 조작
7.5.1 내비게이션 보장
7.6 키보드에 의한 조작
7.6.1 일반
7.6.2 오류 방지
7.6.3 자동 갱신 방지
7.6.4 초점 이동 순서
7.6.5 초점 표시
7.6.6 선택과 실행
7.6.7 서식 작성과 실행
7.6.8 콘텐츠 순서
7.7 쉬운 이해
7.7.1 일반
7.7.2 명확한 지시 사항
7.7.3 자동 재생 금지
7.7.4 일관성 유지
7.7.5 불필요한 절차 생략
7.7.6 논리적 구성

8 편의 제공 요구사항
8.1 정보 제공
8.1.1 일반
8.1.2 피드백 제공
8.1.3 오류 안내
8.2 작업 종료
8.2.1 일반
8.2.2 충분한 시간 제공
8.2.3 초기화 기능
8.3 간결한 언어 사용
8.3.1 일반
8.3.2 단순한 문장 사용
8.3.3 그림 및 아이콘 사용
8.4 되돌릴 수 없는 기능의 안내
8.4.1 일반
8.4.2 시작 전 안내
8.4.3 종료 안내

하드웨어 접근성 요구사항

일반

모든 사용자, 특히 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구사항입니다.

시각정보 제공

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도 정보를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청각정보 제공

청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위한 접근성을 보장합니다.

동등한 대체 콘텐츠 제공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대체 수단을 제공합니다.

위협 요소 배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설계 기준입니다.

용이한 조작

모든 사용자가 장비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스위치, 버튼 및 키패드

사용자들이 이를 쉽게 사용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사용자 컨트롤 조작

다양한 방법으로 장비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합니다.

매체의 용이한 사용

사용자가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온-스크린 콘텐츠접근성 요구사항

다양한 이용자가 콘텐츠를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가이드라인입니다.

일반

시각정보 제공

동등한 대체 콘텐츠 제공

위협 요소 배제

용이한 조작

키보드에 의한 조작

쉬운 이해

편의 제공 요구사항

정보 제공

무인정보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명확하게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작업 종료

작업 종료 시 사용자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명확한 안내와 절차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간결한 언어 사용

무인정보단말기의 모든 안내와 정보는 간결하고 명확한 언어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되돌릴 수 없는 기능의 안내

되돌릴 수 없는 기능을 사용할 때는 사용자가 충분히 이해하고 신중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명확한 안내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참조